
미국발 국제우편 '대혼란': 소액 소포 관세 부과, 전 세계가 멈췄다
목차
서막: 미국으로 가는 우편길이 막혔다
지난 29일(현지시간)을 기점으로 전 세계 국제 우편 시장에 초유의 '대혼란'이 발생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소액 소포에 대한 관세 면제 정책을 전면 폐지하면서, 세계 각국의 우편 당국과 이용객들이 패닉에 빠졌습니다. 한국을 비롯해 유럽, 아시아 등 주요 국가들이 미국행 국제우편물 접수를 일시 중단하거나 제한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물류 시스템의 변화를 넘어, 전 세계 무역 질서와 개인의 일상에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당연하게 여겨졌던 국제우편의 간편하고 저렴한 서비스가 갑작스럽게 막히면서, 사람들은 우편물 하나 보내기 위해 비싼 민간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게 되었습니다. 📩
전 세계 우편서비스 중단, 혼란 속 사람들
이번 정책 변화의 파장은 국경을 가리지 않았습니다. 유럽 최대 우편배송업체인 독일의 DHL을 포함하여,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등 수많은 유럽 국가에서 미국행 소포·우편물 접수를 중단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멕시코, 인도, 태국 또한 미국행 물품 접수를 전면 중단했으며, 한국, 싱가포르, 뉴질랜드 등도 대부분의 미국행 발송을 중단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러한 혼란은 개인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뉴욕타임스(NYT)가 소개한 사례는 이 같은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태국에 사는 브라이언 웨스트 씨는 뉴욕주 운전면허증 갱신에 필요한 서류를 우편으로 보내려 했지만, 우체국 직원에게 "미국행 우편물 발송이 불가능하다"는 거절을 당했습니다. 결국 그는 며칠을 기다리거나, 요금이 훨씬 비싼 UPS나 페덱스 같은 민간 서비스를 이용해야만 하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영국 시골에 사는 작가 애덤 크리스토퍼도 비슷한 곤경을 겪었습니다. 그는 미국 출판사에 자신의 책에 서명한 장서표 묶음을 보내려 했지만, 우체국에서 접수가 거부되었습니다. 결국 그는 1시간을 운전해 UPS 영업점에 가서 훨씬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하고 우편물을 보내야만 했습니다. 그는 "세상이 멸망하는 일은 아니지만, 매우 짜증 나는 상황"이라며 "사소해 보이지만 영향을 받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를 생각하면 엄청난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정책 변경의 배경: 보호무역과 국가 안보
미국의 이번 조치는 단순히 관세 수입을 늘리려는 목적을 넘어, 더 복잡하고 중요한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이 제도를 폐지한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 산업 보호: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온라인 소매업체인 쉬인(Shein)과 테무(Temu) 등이 소액 관세 면제 제도를 악용하여 미국 국내 소매업체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저렴한 상품을 관세 없이 미국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함으로써 막대한 이익을 얻어 왔습니다.
- 세관 검사 회피: 소액 소포의 경우 세관 검사가 엄격하지 않아 마약류나 위조품 등 불법 물건이 미국으로 밀반입되는 통로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펜타닐과 같은 마약류가 우편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려는 목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급증하는 소포 물량: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에 따르면, 소액 소포 관세 면제 대상 우편물은 2015 회계연도 1억3천900만 건에서 2024 회계연도에는 13억6천만 건으로 약 10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이는 관세 면제 제도가 더 이상 지속 가능한 시스템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할 때, 미국의 이번 조치는 국내 산업 보호와 국가 안보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특히 중국과 홍콩에 대해서는 이미 5월 초부터 이 같은 조치를 시행해 왔으며, 이를 통해 약 4억9,200만 달러(약 6,840억 원)의 추가 관세 수입을 올렸다고 전해집니다.
새로운 관세 시스템: 복잡성과 비용 증가
새로운 관세 정책에 따라 미국으로 소포를 보낼 때 정식으로 신고서를 작성하고 관세율을 적용해야 합니다. 다만, 우편서비스 제공 기관에 한해 6개월간 한시적으로 '건당 정액관세'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소포당 정해진 관세액을 징수하는 방식으로, 한국, 영국 등은 건당 80달러, 중국 등은 200달러를 부과하게 됩니다.
그러나 UPS, 페덱스, DHL 같은 민간 특송업체들은 이 정액관세 제도를 이용할 수 없고, 모든 소포에 대해 정식 통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이는 결국 소비자들에게 더 높은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미래는?: 세계 무역과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미국의 이번 조치는 단순히 우편 서비스의 불편을 초래하는 것을 넘어, 글로벌 무역의 흐름을 바꾸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습니다. 저렴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미국으로 물건을 보냈던 수많은 소규모 판매자와 개인 사업자들은 이제 더 높은 비용과 복잡한 절차를 감수해야만 합니다. 이는 결국 전 세계 소비자들이 직구(직접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번 사태는 온라인 소매업체의 성장이 국제 물류와 관세 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한 국가의 정책 변화가 전 세계의 개인과 기업에 얼마나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앞으로 각국의 우편 당국과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 이 난관을 극복해 나갈지, 그리고 소비자들은 어떻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