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3 비상계엄' 특검 수사 확대... 해경 간부 '총기·유치장' 발언 의혹
- 특검, 안성식 전 해경 기획조정관 관사 등 압수수색... 계엄 인지 여부 조사
목차
1. 특검 수사 확대: 해경 간부 압수수색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및 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수사 범위를 해양경찰청으로까지 확대했습니다. 26일 오전, 특검팀은 '계엄 가담 의혹'이 제기된 안성식 전 해양경찰청 기획조정관의 관사와 자택, 해경 본청 사무실 등 총 3곳에 대해 강제 수사에 나섰습니다.
이번 압수수색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해경 간부회의에서 안 전 조정관이 한 발언과 관련된 것으로, 특검의 인지 수사를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특검은 이번 사건이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제기된 의혹을 바탕으로 수사 착수하게 된 것임을 밝히며, 해당 발언의 내용과 경위를 명확히 규명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2. '계엄 가담 의혹' 발언의 내용과 맥락 🗣️
안 전 조정관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열린 해경청 전국 지휘관 화상회의에서 파출소 청사 방호를 위한 '총기 휴대' 검토와 계엄사령부 인력 파견 등을 주장한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당시 회의 시작 전, 그는 '직원들의 총기 휴대와 합수부 구성 시 수사 인력 파견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그가 이어서 '계엄 사범들이 많이 올 것 같으니 유치장을 비우고 정비하라'는 지시까지 내렸다는 의혹입니다. 이는 단순한 내부 회의 발언을 넘어, 해경이 비상계엄 사태에 적극적으로 동조하며 군과 함께 움직이려 했다는 심각한 의심을 낳고 있습니다. 만약 이 발언들이 사실로 확인된다면, 안 전 조정관은 비상계엄의 준비와 실행에 관여한 주요 인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초고속 승진 배경 속 의문과 해경의 해명 💬
안 전 조정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같은 충암고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2022년 3월 해경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파견되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는 이후 2023년 총경에서 경무관으로, 지난해에는 다시 치안감으로 2년 사이에 두 계급을 '초고속 승진'하며 '특혜' 논란에 휩싸인 바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은 그의 '계엄 가담 의혹' 발언에 대한 의구심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해경은 "안 전 조정관이 총기 휴대 검토와 수사 인력 파견 등을 언급한 사실은 있지만, 이에 따른 조치가 실행된 것은 없다"며 "해경도 비상계엄에 가담하려 했다는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해경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특검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당시 발언의 정확한 내용과 경위, 그리고 안 전 조정관이 계엄 선포 계획을 사전에 인지했는지 여부를 철저히 조사할 방침입니다.
4. 향후 수사 방향: 계엄 인지 여부와 배후 세력 🔍
특검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뒤, 조만간 안 전 조정관을 소환해 조사할 계획입니다. 이번 수사의 핵심은 그가 계엄 선포 계획을 사전에 인지했는지, 그리고 대통령실로부터 관련 지시를 받은 사실이 있는지 여부가 될 것입니다. 만약 안 전 조정관이 계엄 계획을 사전에 알고 있었고, 그 발언이 단순한 의견 피력이 아닌 상부의 지시에 따른 것이었다면, 이는 '12·3 비상계엄' 의혹의 퍼즐을 맞추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번 해경 간부에 대한 수사 착수는 특검이 군부대뿐만 아니라 경찰, 해경 등 다른 국가기관으로까지 수사망을 넓히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검은 비상계엄이 단순히 군부 내의 계획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기관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거대한 음모였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